국제관광기구(UNWTO, 2024년 1월)에 따르면 전 세계 관광시장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88% 수준까지 회복하면서 2022년에 예측했던 것보다 더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관계전문가들은 2024년에는 주요 국가들의 관광산업이 100%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관광산업 특성상 펜데믹,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정치·경제·지리적 분쟁 등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他 산업에 비하여 시장 회복률이 매우 더디다.
다행인 것은 디지털화 가속, 온라인 플랫폼 영향력으로 인해 K-컬처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분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지난 2022년 12월에 K-컬처를 활용해 한국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방한 여행으로 스펙트럼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의‘제6차 관광진흥기본계획’을 발표하였고, 2023년 12월에는 친숙해진 K-컬처를 활용하여 전 세계인에게 K-관광을 각인시켜 2024년에 외래관광객 2천만명을 달성하고 외래관광객의 지방 방문 비중을 55%까지 높이며 관광수입을 245억 달러까지 높이겠다는 전략과 목표의 ‘대한민국 관광수출 혁신전략’을 발표하였다.
이에 정부가 발표한 목적을 기한 내 빠르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광을 둘러싼 모든 유형의 업계, 정부, 지자체가 협력하여 기존 관광정책의 전통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외국인 수요자 입장의 적극적인 수용 태세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해 나가야 한다.
최근 외국인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 비자, 구글맵, 그랩·우버 등 관광의 대표적인 수단이 우리나라에는 없거나 경직되어 있다. 한국에 방문하고 싶어도 첫 번째 마중물인 비자가 가로막고 택시가 불편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인식으로 포기하고 관광콘텐츠가 유사한 다른 나라를 방문하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 특성상 정치적·경제적 상황 등으로 비자 등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국민의 안전이 전제되어야 함에 따라 쉽지 않다. 하지만 전 세계적 관광산업의 경쟁력 우위 및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한국방문이 관광목적에 한하여 다른 시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관광객들이 체감하는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촘촘하게 개선하여 많은 국가의 관광객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광범위하게 홍보하여 ‘한국관광’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여 스스로 검색하게 해야 한다. |